“The phantom which returns to haunt bears witness to the existence of the dead buried within the other.” (Abraham and Torok 1994, 176)
Okyoung Noh [/oak-young-no/]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 living and working in Seoul, South Korea, and Ann Arbor, MI. Noh draws inspiration from her lived experiences in Seoul with her North Korean grandmother who glorified the west, whose body exhibited the trauma of inter-Asian migration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Using community engagement, performance, video, and installation, Noh focuses on various manifestations of dehumanization that the bodies of Asian female diasporas – especially, their movements and vocals – exhibit in a state of mis/dislocation. By dwelling on them, Noh maps and visualizes the racialized, gender-based violence that takes place in massage shops, nail salons, national borders, and white suburbs. Through immersive, interactive installation, Noh invites audiences to engage with these materials, to be a part of their stories. Tracing the haunting trauma of Asian diasporas, Noh transfers their familial silences tinged with shame into significant herstories that foster consciousness, empowerment, and empathy.
Noh has exhibited and performed internationally at Wave Pool Gallery (Cincinnati, OH), Ann Arbor Art Center (Ann Arbor, MI), LA MAMA (New York, NY), Tribowl (Incheon, South Korea), Hangaram Museum (Seoul, South Korea), CICA Museum (Gimpo, South Korea), Seoul Artist’s Platform_New & Young (Seoul, South Korea), and many others. She has been awarded the prestigious Chunman Art Award (KR) and nominated as the Young Korean Artist by CICA Museum (KR); the New Artist from Boomer Gallery (UK), and many others. Noh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BFA and is currently an Elsie Choy Lee scholar at Penny W. Stamps School of Art & Design, University of Michigan.
-
“뇌리를 파고들며 끊임없이 돌아오는 유령은, 타자 내면에 안치된 망자들의 존재를 증언한다.” _ 아브라함과 토록 『껍질과 핵』1994
노오경은 북한 황해도에서 온 할머니와 남한의 제주도에서 태어난 어머니와 성장한 다학제 작가이다. 서울과 미국 미시간을 오가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작가는 유무형적 폭력 속 침묵되거나 소외된 여성의 몸을, 표현미술치료, 포스트 콜로니얼 문화기술지 등의 접근 방법을 기반하여, 퍼포먼스, 영상, 설치 등의 다원적 매체로 시각화하는 작가이다. 작가는 이방인 여성의 신체가 그를 둘러싼 사회-역사적 구조 속에서 어떻게 비가시화되는지, 어떠한 신체-언어적 증상들로 어긋난 장소성(mis/displacement)을 증언하는지 탐구한다. 탈북민, 외국인 노동자, 결혼 이주민, 입양아 등과 함께 협업하며 그들의 신체를 역사(herstories)적 증언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이들의 반복된 동작, 읽을 수 없는 웅얼거림, 파편적 기억, 누락되는 속삭임 등을, 스크린과 설치물로 옮긴다.
이처럼 작가의 작업에서 “어긋난” 디아스포라 행위자들은 언어적, 행동적 규범을 비껴가는 저항적 퍼포머로서, 혹은 폭력을 증언하는 몸의 소유자로서 새롭게 호명되고 재배치된다. 작가는 이방인의 몸들 속 침묵되었던 기억들을 부피와 차원을 가진 동작과 읊조림들로 내보이며, 시민과 아브젝트(abject)의 경계를 되묻는다.
작가의 작품은 미국 앤아버 아트센터, 미국 웨이브풀 갤러리, 인천 트라이보울, 서울 예술의 전당, CICA 미술관, 청년예술청 (SAPY), 홍익 미술관 (HOMA) 등에서 국제적으로 전시되었다. 작가는 2023년 삼천리 재단의 천만아트포영을 수상하였고, CICA 미술관의 Young Korean Artist 2022, 영국의 Boomer Gallery의 New Artist 2021, 미국의 남 한국학 센터 (Nam Center for Korean Studies)의 펠로우로 선정된 바 있다. 미시간 대학교 아트엔진, 서울예술문화재단 (SPAC), 청년예술청, 경기문화재단 등의 지원을 받았다. 현재 작가는 미시간 대학교의 엘시 최 리 학자 (Elsie Choy Lee Scholar)이자 학부 통합 프로젝트 (Integrative Projects)를 공동으로 가르치는 교육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