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kyoung Noh [”oak-young no”] is an artist, educational researcher, and director of the Better-Life Association based in Seoul, South Korea and Ann Arbor, Michigan.
Okyoung Noh (b. Seoul, South Korea)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 and researcher who has grown up with a pale glimmer of a capitalist ideology and moved to the United States with the delusive American Dream. She studi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n visual art,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conducted 4 studies internationally including one national research project commissio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Currently, Noh is studying ar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as the Elsie Choy Lee scholar. Now is currently working as a team lead of the Asian Teaching Artist Exchange Workshop and Joint Project supported by the Korean Art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co-teaching Integrative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Noh's intersectional practice of multimedia installation, socially engaged performance, workshop, publication, and archival website relies on a combined methodology of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is on assimilation and resistance of Asian diasporic people in the United States, conflicting between racism (e.g. daily microaggression, phonological generalization, etc) and optimistic promises of American "better life" ideology (e.g. being a successful model minority, speaking in “perfect” American accent, etc). Between solidarity and criticism, Noh investigates and documents the stories and suspected mechanisms behind those themes through field research, media research, and antagonist and pedagogical interactions with diverse agencies.
Noh’s works have been shown at Hangaram Museum in Seoul Arts Center, Seoul Artist’s Platform_New & Young (SAPY), CICA Museum, Hongik Museum of Art (HOMA), Art Space Grove, and many galleries. She has been nominated as the Young Korean Artist from CICA Museum (KR); the New Artist from Boomer Gallery (UK), a fellow of the Nam Center for Korean Studies and Engaged Pedagogy Initiative (MI, USA), and the recipient of grants from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PAC), Seoul Artists' Platform (S.A.P),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GGC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Michigan.
노오경은 90년대 한국의 후기자본주의 이데올로기 및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성장하여, 포스트-아메리칸 드림(American Dream)을 갖고 미국으로 건너간 다학제 작가이자 연구자이다. 작가는 서울대학교 학부를 졸업 후 미시간 대학교 석사에 재학 중이며 시각 예술, (비판적인) 교육학, 질적인 연구 방법론을 주 연구 분야로 삼고 있다. 작가는 미시간 대학교의 엘시 최 리 학자 (Elsie Choy Lee Scholar)이자 학부 통합 프로젝트(Integrative Projects)를 공동으로 가르치는 교육자이다. 또한 작가는 한국예술문화교육진흥원과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아시아 티칭 아티스트 교류 워크숍 및 공동 프로젝트의 팀장으로 활동하였고, 한국 국립현대미술관(MMCA)의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4개의 국제 연구에 참여한 바 있다.
작가는 멀티미디어 설치, 관객 참여적 퍼포먼스, 워크숍, 출판 및 아카이브 웹사이트 등 비판적 교육학, 행동주의, 질적 연구의 방법론을 접목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다. 작업은 어긋난 장소에 거주하게 된(Settlement-in-displacement) 아시아 디아스포라(Asian diaspora)의 동화와 저항를 다룬다. 특히 아시아 디아스포라를 향한 인종차별(예: 미세 공격 Micro-aggression, 인종과 국적에 따른 발음의 일반화 등)과 “성공한 이민자 이데올로기” (예: 모델 마이너리티, "완벽한" 억양으로 말하는 것 등) 사이에서, 그들의 순응과 비순응을 다각도로 다루고 있다.
작가의 작품은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CICA 미술관, 청년예술청 (SAPY), 홍익 미술관 (HOMA), 아트 스페이스 그로브, 그리고 여럿 다른 갤러리에서 전시되었다. 작가는 CICA 미술관의 Young Korean Artist 2022, 영국의 Boomer Gallery의 New Artist 2021, 미국의 남 한국학 센터 (Nam Center for Korean Studies)의 펠로우로 선정되었으며, 서울예술문화재단 (SPAC), 청년예술청, 경기문화재단 등의 지원을 받았다.
@art_okyoung
okyoungnoh@gmail.com
okyoungnoh@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