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Empathy: Emerging Practices in the Wake of the Pandemic
Kelly Long (Senior Curatorial Assistant at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In 2020, artists with a studio practice found themselves confned to their homes and apartments and searching for new ways to create meaningfully from their kitchen tables, with the materials at hand. In New York City, the photographer Justine Kurland began cutting up her art books collaging images of photographs by white male artists firmly "of the canon" (Lee Friedlander, William Eggleston, Edward Weston, etc.) as part of her SCUMB Manifesto series, referencing Valerie Solanas's 1967 feminist broadside and its proclamation of a "society for cutting up men." Kurland's excised fragments would become the unwitting building blocks for imagining new, utopian, feminist worlds and forms. Around the same time, Meriem Bennani and Orian Barki created the film 2 Lizards-an episodic journey of two animated lizards through a city racked by the fear, uncertainty and isolation of the pandemic's earliest months, and by the outcry for social justice that unfolded simultaneously. The work is delightfully strange, and unexpectedly sweet. In a frightening unfamiliar world, we're all just a couple of lizards, looking together for the smallest moments of connection and joy-and that is not insignifcant.
Three years later, the arts ecosystem-with its artists, curators, critics, and the rest-is still trying to figure out what that ecosystem has become, and what our most vital, nourishing, and meaningful work is now. What role can art play amid such incalculable loss? How can museums and other cultural institutions address the changing needs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and deepen their support of the artists whose work makes these reciprocal spaces possible in the first place? Although the effects of the pandemic were experienc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access to resources, community, and state services, this reckoning is one we have all felt on some level, within and beyond the art world. We are all of us (more or less) vulnerable, desirous of connection to others, and seeking greater meaning in the work we devote ourselves to every single day These ideas-vulnerability, connection, shared experience, and fulfillment-were in some way at the core of every project and practice represented in CHUNMAN ART for YOUNG's inaugural scholarship foundation competition, expressed with tremendous originality and thoughtfulness by each individual artist.
In her monumental paintings, first prize winner Jeong Juwon reflects on a deeply personal experience (the death of her grandmother) through surreal, satirical narratives to invite universal questions, Why are our rites and rituals around death what they are? HoW can something as ordinary as human flesh become so deeply uncanny after death? How can this be expressed through equally uncanny colors and forms, and the dream-like landscapes within which they live? Many multidisciplinary and participatory projects submitted seek to manifest the human desire for connection and belonging-Noh Okyoung, through her exploration of the paradoxical process of de-/re- humanization of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alse promise of "the American Dream"; and Kwak Jisu, through drawings and installations that highlight the unbearable weights of distance and misunderstanding between people, and the power of cooperation, communication, and empathy to lighten this load Works of photography submitted to the competition examine the alienating tendencies of the social structures within which we live, and offering images that might depict or foster a more empathetic relationship to others-Song Seokwoo, through his carefully choreographed photographs of young male performers in lonely landscapes; and Choi Jaehyuk, in his crystalline night photographs, and anxious (yet tender) portraits of Korea's insular community of young "terrapin people."
Will a time come that artists are not responding, in one way or another, to the loss and the lessons of the last three years? None of these artists explicitly address the COVID-19 pandemic in their individual projects, and yet its presence is palpable in their expressions of vulnerability and an overwhelming desire for greater empathy, and pathways toward human connection These are not new ideas, by any means-on the contrary they are some of the most fundamental ideas art may hope to express. But emerging artists in Korea are attending to these ideas with acute focus and a sense of shared urgency suggesting that we are all in a moment that is still very much unfolding.
공감을 향하여: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관행
켈리 롱 (휘트니 미술관 시니어 큐레토리얼 어시스턴트)
2020년,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던 작가들은 집이나 아파트에 간힌 채 있는 재료를 사용해 식탁에서 의미 있는 창작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뉴욕의 사진작가 저스틴 컬랜드(Justine Kurland)는 발레리 솔라나스(Valerie Solanas) 가 1967년에 발표한 여성주의적 성명서와 해당 글에 담긴 "남성 거세 사회"의 선언을 참조한 <SCUMB 선언문(SCUMB Manifesto)> 연작의 일환으로 자신의 예술 서적을 잘라 리 프리들랜더(Lee Friedlander), 윌리엄 이글스턴(William Eggleston), 에드워드 웨스턴(Edward Weston]) 등 '주류'로 자리 잡은 백인 남성 작가들이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콜라주했다. 컬랜드가 이렇게 자른 조각들은 부지 불식간에 새로운 유토피아적 페미니즘 세계와 형태의 상상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발전한다. 그 무렵 메리엠 베나니(Meriem Bennani)와 오리언 바키(Orian Barki 는 비디오 작업 <두 도마뱀(2 Lizards]>을 발표했는데,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구현한 도마뱀 두 마리가 팬데믹 초기의 두려움, 불확실성, 고립감 그리고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었던 사회 정의에 대한 아우성에 힙싸였던 도시로 떠나는 여행을 여러 에피소드로 제작한 이 작품은 유쾌하면서도 괴상하며 뜻밖의 달콤함 또한 선사한다. 두려움 가득하고 낯선 세상에서 우리는 모두 소소한 연결과 기쁨의 순간을 함께 찾아가는 몇 마리의 도마뱀에 불과하며, 이는 결코 사소하다고 할 수 없는 의미 있는 일이다.
팬데믹 발발 후 3년이 지난 오늘, 예술가와 큐레이터, 비평가 등을 아우르는 예술 생태계는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변모했는지, 또 현재 가장 중요하고, 자양분이 되며, 의미 있는 일이 무엇인지 여전히 모색 중이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막대한 손해를 입은 이 시점에 예술의 역할은 무엇일까? 미술관과 기타 문화 기관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의 변화하는 요구에 어떻게 부응해야 하며, 애초에 이런 호혜적 공간의 존재를 가능케 하는 작가들을 위한 지원은 어떻게 강화해야 할까? 자원, 공동체, 국가 차원의 지원에 대한 접근성에 따라 팬데믹의 영향은 개인마다 매우 다르케 경험되었으나. 팬데믹이 초래한 어려움은 예술 세계뿐만 아니라 그 너머의 차원에서 역시 어떤 정도로든 우리 모두가 느꼈다. 우리는 모두 어느 정도는 취약하고, 타인과의 연결을 갈갈망하며, 매일 우리 자신을 쏟아붓는 일에서 더욱 큰 의미를 찾고자 한다. 취약성,연결성, 공유 경험, 성취감 같은 키워드는 CHUNMAN ART for YOUNG의 첫 장학 프로그램 공모에 접수된 모든 프로젝트와 작업의 핵심에 어떤 모습으로든 공통으로 나타났으며, 작가들은 저마다 놀라운 창의력과 깊은 사유를 통해 이를 풀어냈다.
공모에 출품된 여러 다학제적 작품과 참여적 프로젝트는 상호연결과 소속감이라는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고자 했다. 노오경은 미국의 동양인 이민자들이 겪는 비인간화/재인간화라는 모순적 과정과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헛된 약속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를 드러냈고, 곽지수는 사람 사이의 거리와 오해의 견딜 수 없는 무게 그리고 이런 짐을 덜기 위한 방편인 협력, 소통, 공감의 힘을 강조하는 드로임과 설치를 통해 이를 표현했다.
[...]
지난 3년간 우리가 잃은 것과 얻은 교훈을 작가들이 더 이상 작품으로 표현하지 않는 시기가 과연 올까? 비록 위의 작가 중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내용을 각자의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낸 이는 없지만, 취약성과 더욱큰 공감에 대한 강한 바람 그리고 사람들 간 상호연결성을 향한 방향을 작품에 표현하는 방법으로 최근 우리가 겪은 팬데믹에 대한 메시지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이런 메시지는 전혀 새로운 내용이 아니다. 오히려 예술이 표현하고자 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신진 작가들은 날카로운 시선과 시급성을 공유하며 이런 개념에 접근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순간을 살고 있음을 시사한다.